언양시외버스터미널과 버스시간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7년 3월25일 기준) 언양시외버스터미널은 `17년11월부로 폐쇄되었으며, 인근 공영주차장 부지로 옮겨 임시운영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언양시외버스터미널 폐쇄 및 임시터미널 운영 지도를 놓고 찬찬히 살펴보면, 언양은 규모가 작기는 하지만, 교통의 중심지입니다. 주변의 일정 반경안에 울산, 경주, 부산, 양산 등의 주요 도시들이 모두 위치하고 있지요~ 더군다나, 주변에 영남알프스가 있다보니, 등산객들이 굉장히 많은 편이고, 다른 지역에서 오시는 분들은 KTX나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언양시외버스터미널에 도착한 뒤, 328번이나 304번등의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산행 들머리로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면, 이 모든 교통의 중심점에 있는 ..
과연 영남알프스를 대중교통으로 쉽게 가는 방법은 없을까요~? ^^ 산악회 버스를 타고 들머리로 한 번에 이동하지 않는 이상, 영남알프스를 개별적으로 산행하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인 버스 시간과 경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보니 항상 애를 먹는 것이 사실입니다. 앞으로도 가끔씩, 영남알프스와 연계된 울산 시내/시외 버스노선을 이해하기 하나씩 쉽게 한번 풀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세번째로 울산 304번 버스에 대해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울산 304번 버스는 울산시내 율리 버스 공영차고지를 출발하여, KTX 울산역, 언양 버스터미널을 모두 거친 뒤, 최종 영남알프스 복합웰컴센터까지 왕복하는 시내버스입니다~! * 배차시간에 따라, 일부 노선(하루 3회) 은 종점이 복합 웰컴센터가 아니라 대곡 박물..
과연 영남알프스를 대중교통으로 쉽게 가는 방법은 없을까요~? ^^ 산악회 버스를 타고 들머리로 한 번에 이동하지 않는 이상, 영남알프스를 개별적으로 산행하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인 버스 시간과 경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보니 항상 애를 먹는 것이 사실입니다. 앞으로 틈날 때 마다, 영남알프스와 연계된 울산 시내/시외 버스노선을 이해하기 하나씩 쉽게 한번 풀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오늘은 두번째로 울산 328번 버스에 대해 한번 알아 보겠습니다. 울산 328번 버스는 KTX 울산역과 언양 터미널을 출발하여, 신기마을, 석남사, 배내고개, 주암마을(사슴농장), 죽전마을, 신불산 자연휴양림 등 영남알프스의 주요 핵심거점을 모두 거친 뒤, 최종 백년마을(배내골) 까지 왕복하는 시내버스로서, 평소 제가 아주 많이..
과연 영남알프스를 대중교통으로 쉽게 가는 방법은 없을까요~? ^^ 산악회 버스를 타고 들머리로 한 번에 이동하지 않는 이상, 영남알프스를 개별적으로 산행하는 사람들은 대중교통인 버스 시간과 경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보니 항상 애를 먹는 것이 사실입니다. 앞으로 틈날 때 마다, 영남알프스와 연계된 울산 시내/시외 버스노선을 이해하기 하나씩 쉽게 한번 풀어서 설명해 보려고 합니다. 영남알프스 가는법, 그 첫번째로 오늘은 울산 1713번 버스입니다. 울산 1713번 버스는 태화강역을 출발하여, 울산시내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 지른뒤, (고속도로 경유) 영남알프스 초입인 석남사까지 왕복하는 좌석버스 입니다. * 평일과 주말 운행시간의 차이가 있으며, 주말 운행횟수(36회) 가 평일(44회) 에 비해 약간 적..
- Total
- Today
- Yesterday
- 창원
- 거제
- 기장
- 영남알프스
- 등산지도
- Happy700길
- 대구
- 산행지도
- 트레킹코스
- 코스 지도
- 칭다오
- 둘레길
- 평창
- 부산
- 김해
- 울산
- 제주
- 경주
- 올레길
- 해파랑길
- 울산1인산악회
- 남해
- 청도
- 고성
- 등산코스
- 트레킹
- 통영
- 밀양
- 양산
- 야생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